[은퇴는 처음이라서] 삼십 년 동안
나는 지금까지 삼십 년이 넘는 세월을 이곳 뉴욕 한인사회의 일원으로 살아왔다. 그동안 중앙일보는 나와 내 가족들에게 이민생활의 길라잡이가 되어주었고 동반자가 되어주었다. 처음 이민 와 모든 것이 서툴고 미숙했을 때는 이 신문을 통해 이민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휴대폰도 없고 인터넷도 없던 때라서 한국의 소식을 접할 수 있는 유일한 길도 매일 아침 배달되는 신문을 통해서였다. 매일 아침 신문을 펼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던 이민 초기에는 가장 먼저 확인하곤 하던 것은 이민 절차상의 가족 초청의 문호가 얼마만큼 풀려 있는지에 대한 이민정보였던 것을 기억한다. 그러면서 세월이 흘러 우리 아이들이 자라나고 대학에 들어갈 무렵이 되자 나의 관심사는 온통 대학입시에 관련된 정보들에 쏠리게 되었다. 그때 신문에 난 관련된 기사들을 스크랩해 모아둔 것이 책이 될만한 분량이었을 정도이다. 그리고 또 세월이 흘러 나도 어느덧 사회의 중견이 되었으며 신문을 받아서 읽기만 하던 데서 나아가 이민 생활의 애환들과 아이들 교육에 관한 의견, 내 사업장에서 생겼던 인종갈등의 문제 등에 대한 의견들을 써 오피니언 난에 보내기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니 이 오피니언의 공간은 나에게는 친정 같은 공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안에서 한 사회인으로, 한 명의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신문의 독자들은 처음부터 나의 모자람을 잘 알고 있을 것이어서 나의 부족함을 지적하고 나무라기보다는 감싸 줄 것 같기 때문이다. ‘은퇴는 처음이라서’의 코너도 그러한 배경으로 쓰인 것이다. 나는 은퇴 전문가도 아니고 재정 설계사도 아니어서 이 분야에 무슨 전문적인 지식이나 남다른 식견이나 정보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나도 어느덧 은퇴를 준비해야 할 나이가 되면서 아직도 한 번도 가보지 않은 낯선 곳을 바라볼 때마다 두려움과 불안감이 엄습해 오는 것을 느끼면서 내가 지금 느끼고 있는 불안과 혼란 등을 정리해 보고자 했다. 은퇴와 노후라는 내 앞에 닥친 과제를 어떻게 맞이해야 할지 나름대로 연구해 보았고, 노동의 시간에서 물러남의 시간으로의 내 인생의 축의 전환은 어떡해야 할지를 고민해 보았다. 이렇게 이 코너를 쓰기 시작한 지도 어느덧 일 년의 세월이 지나갔다. 이 일 년이란 시간은 내 삶에서 영원히 지나갔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우리의 삶의 시간 중 중요하지 않고, 빼버려도 되는 시간은 하나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우리 삶의 모든 여정이 그러하듯 이 과정들과 시간을 얼마나 충실히 살아왔는지가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게 된다. 삼십 년도 전에 뉴욕시의 한 귀퉁이에서 가난한 이민생활을 시작했을 때 나에게는 앞날에 대한 꿈들이 있었고, 미국이란 나라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살아오는 동안 한 번도 그 꿈들과 믿음을 포기하거나 저 버린 적이 없었다. 그리고 지금 그 많은 부분이 나의 현실이 되어 주었음을 깨닫고 있다. 인생 후반부를 준비하는 것도 그와 같을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그 또한 그것을 꿈꾸고 믿고 준비한 자들의 것인지도 모른다. 그 밝은 미래가 여러분 모두의 것이 되기를 바라면서 이 연재를 마치고자 한다. 이 글이 연재되고 있는 동안 나의 식견의 부족함과 치우침을 너무 나무라지 않고 좋게 읽어주신 독자들과 귀한 지면을 내어 준 중앙일보에 깊이 감사드린다. 위선재 / 웨스트체스터은퇴는 처음이라서 은퇴 전문가 이민 절차상 이민 초기